겜 List/레이튼교수의 악마의 상자

악마의 상자 수수께끼 061~080

뿌이~ 2012. 1. 30. 23:41
728x90

Q061. 호텔은 어디?   반짝캐럿 30   호텔 앞 호텔


역 앞에 4채의 건물이 있다.
이 중 하나의 건물이 호텔이라는데 간판이 어디에도 걸려 있지 않다 하지만, 잘 펴보면 호텔임을 알 수 있다고 한다.

과연 호텔은 어느 건물일까?








Q062. 또 다른 장미 향기   반짝캐럿 40   호텔 객실 꽃병


향긋한 장미 향기를 방 전체에 퍼지도록 해 보자.

터치한 칸에 장미가 놓이고, 2칸 떨어진 곳까지 향기가 퍼진다. 하지만 장미 향기는 벽을 통과해서 퍼지지 않으며, 향기가 겹치면 너무 강해지므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하자.
놓은 장미는 다시 한 번 터치하면 없앨 수 있다.







Q063. 숫자 카드   반짝캐럿 25   골동품점 도슨


1에서 6까지의 숫자가 쓰인 카드가 순서대로 놓여 있다. 이것을 아래의 조건대로 다시 배열해 보자.

* 위쪽 줄의 숫자 3개의 합은 아래쪽 줄의 숫자 3개의 합보다 1만큼 적다.
* 오른쪽 줄의 위아래를 더하면 5.
* 카드 5는 카드 4의 바로 왼쪽.
* 카드 1은 왼쪽 줄에 있다.





Q064. 항아리의 돌   반짝캐럿 20   골동품점 도슨


「항아리 속에는 크기와 감촉이 같은 돌이 101개 들어 있단다. 검은 돌이 50개, 흰 돌이 51개지. 눈을 가린 후 항아리 속에서 돌을 원하는 만큼 꺼내 보렴. 꺼낸 돌을 세어 봤을 때 검은 돌과 흰 돌의 수가 같다면 꺼낸 돌과 같은 수의 금화를 줄게」

그렇다면, 과연 몇 개의 돌을 꺼내는 것이 가장 이득일까?







Q065. 오래된 지도   반짝캐럿 25   골동품점 도슨


오래된 지도에는 보물을 묻은 장소를 알려 주는 힌트가 쓰여 있다.

「원 안에 1부터 6까지의 모든 숫자를 넣을지어다. 일직선 상에 놓인 수의 합은 모두 같으며, 또한 그 합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큰 수일지니. 1의 자리에 보물이 있으리라!」

4는 처음부터 지도에 쓰여 있는 상태. 보물이 묻혀 있는 곳을 표시해 보자.





Q066. 다이얼의 암호   반짝캐럿 30   폐광 입구 이상한 사진


숫자가 쓰여 있는 2개의 다이얼로 잠겨 있는 상자가 있다.
푸른 다이얼을 직접 돌릴 수는 없으나 붉은 다이얼을 돌리면 푸른 다이얼도 같은 양만큼 돌아간다고 한다.
시험 삼아 몇 번 돌려 보니 그림과 같은 관계를 알 수 있었다. 푸른 다이얼이 「3641」의 순서로 돌아가면 상자가 열리게 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붉은 다이얼을 어떻게 돌리면 될까? 4자리의 숫자로 대답해 보자.







Q067. 샘의 출근일   반짝캐럿 40   호텔 앞 


「오늘이 휴일이라고 치자. 어제가 휴일이 아니었다면 내일은 휴일이고, 휴일이었다면 내일은 출근일이야. 그럼 이번에는 오늘이 출근일이라고 치자. 그저께가 출근일이 아니었다면 내일은 출근일이고, 출근일이었다면 내일은 휴일이야.」

그럼 1년을 365일로 잡았을 때 이 회사의 출근일은 총 며칠일까?
일요일, 공휴일은 생각하지 않기로 한다.






Q068. 모자 예절   반짝캐럿 25   동쪽 길 펠릭스


「손님, 가게에 들어가시려면 이쪽에 모자를 놓아 주십시오.」
「흠, 이 모자를 벗을 수는 없는데... 옳지! 그러면 되겠군!」

아래에 또 하나의 모자가 나타나도록 해보자. 배경의 무늬를 잘 살펴보면 모자 모양이 숨어있다. 위쪽에 보이는 모자와 형태나 크기는 같지만, 방향은 다를 수 있다.

찾아내서 터치펜으로 표시해 보자.





Q069. 메뉴 복사하기   반짝캐럿 25   동쪽 길 펠릭스


이 메뉴는 그림과 같이 두 번 접히는 모양으로, 양면에 내용이 있어서 총 6페이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지금 사용할 수 있는 복사기로 한 번에 복사할 수 있는 면적은 이 메뉴의 2페이지 분량밖에 되지 않는다.

가급적 적은 횟수로 모든 페이지를 복사하려면, 최소 몇 번을 해야 할까?







Q070. 보석 목걸이   반짝캐럿 30   수상한 가게 일리나


「오래전에 산 보석 목걸이가 있어요. 근데 이제 내 취향이 아닌 거야. 그래서 팔아 버리려고 감정을 받았는데 재밌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보석 하나하나에 값이 매겨져 있거든? 근데 이 목걸이의 3곳을 자르면, 보석 값의 총합이 같은 3개의 줄이 생긴다는 거예요. 자, 어딜 자르면 될지 아시려나?」







Q071. 여자는 몇 살?   반짝캐럿 30  수상한 가게 일리나


어떤 남자와 여자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남자는 여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지금 나는 20살. 내가 지금의 네 나이였을 때 그 당시 네 나이의 딱 2배가 지금의 내 나이구나.」

참 힘들게도 둘러서 말하고 있는데, 과연 여자는 지금 몇 살일까?






Q072. 사진 촬영 순서   반짝캐럿 35   사진관 사진관


사진관 벽에 걸린 4장의 사진.
모두 같은 구도로 같은 시간대에 찍은 사진이다. 하지만 촬영을 한 시기는 다른데, 잘 살펴보면 촬영된 순서를 알 수 있다고 한다.

어떤 순서로 찍혔는지 잘 생각해서 오래된 사진부터 순서대로 「ABCD」와 같이 대답해 보자.







Q073. 나뭇가지와 빈 캔   반짝캐럿 30   시계탑 광장 나일


빈 캔들이 그림과 같이 나뭇가지에 매달린 채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 중 하나의 캔 속에는 물이 들어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어느 캔일까?

모든 캔의 무게는 같으며, 나뭇가지나 끈의 무게는 무시하기로 한다.








Q074. 냄새 막기   반짝캐럿 30   식료품점 마릭


마늘은 음식에 감칠맛을 더해 주는 양념이지만, 매우 강렬한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 그런 마늘을 복잡한 용기 속에 넣어 두었는데, 구멍을 마개로 막지 않은 탓에 마늘 냄새가 온 방에 퍼지고 말았다.
코르크 마개 2개를 사용해서 냄새가 나지 않게 해 보자. 막고 싶은 곳을 터치하면 마개로 막힌다.
3곳 이상 사용해서는 안 된다.







Q075. 과자 상자   반짝캐럿 25   서쪽 길 마리나


과자 상자에 4종류의 과자가 섞여서 들어 있다. 이것을 5명이 공평하게 나눠 가질 수 있도록 선을 그어 보자. 단, 1명분의 과자는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대각선으로만 연결되어 있을 경우, 이어진 것으로 보지 않는다.

모두가 같은 종류의 과자를 같은 수만큼 가져가도록 하려면 어떻게 나눠야 할까?






Q076. 탑 수수께끼   반짝캐럿 20   파수대 제프


어느 마을에 마을 전체를 내다볼 수 있는 높은 탑이 있다.

마을 전체를 볼 수 있는 탑이므로, 그 마을 어디에서도 탑이 보일 것이다. 그런데, 그림 곳에 있는 장소 중에는 탑의 모습을 볼 수 없는 것이 분명히 있다고 한다.

그곳은 어디일까?






Q077. 이상한 기계   반짝캐럿 30   폐광 기계실 마우이


기계에 붙어 있는 금속 막대에 몇 개의 추가 달려 있는데,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다. 땅에 떨어져 있는 추 중 하나를 「?」에 달아서 균형을 잡아 보자.
막대에 달려 있는 5개의 줄은 각각 동일한 간격을 두고 묶여 있고, 각 추의 무게는 가장 가벼운 추를 1로 잡으면 중간 추는 2, 가장 무거운 추는 3이 된다고 한다.
「?」의 위치에 추를 끌어 놓아 보자.






Q078. 문의 피로   반짝캐럿 25  폐광의 T자 길 평면도


한쪽 방향으로만 문을 열고 지나갈 수 있는 미로가 있다. 그림과 같이 살짝 열려 있는 방향으로 밀 수는 없고 당겨서 열 수도 없다.
이 상태라면 입구로 들어가서 모든 방을 통과한 다음 출구로 나가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1곳의 문을 반대 방향으로 밀 수 있게 바꾸면 가능해진다고 한다.
그 문을 동그라미로 표시해 보자.







Q079. 톱니바퀴의 레버   반짝캐럿 20   폐광 기계실 기계실 문


문을 여는 버튼이 기계 안에 있는 탓에 직접 누를 수는 없지만, 기계 위쪽에 있는 레버를 A 또는 B로 당기면 가장 아래쪽 톱니바퀴까지 돌아가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녹색 버튼을 누르려면, A와 B중 어느 쪽으로 레버를 당겨야 할까?








Q080. 승강기 수수께끼   반짝캐럿 40   폐광 승강기 승강기


이 기계에는 이상한 배전반이 붙어 있다. 설명서에 따르면 빨간 구슬과 파란 구슬의 위치를 바꾸면 전기가 흘러 기계가 움직인다고 한다.

자, 위치를 바꿔 보자.